10년 전쯤인가 친정아버지도 공공일자리로 일을 한 적이 있다. 적은 금액이지만 운동도 하고 나무도 보고 해서 좋아하셨던 기억이 난다. 산 밑에 차를 세워두고 중턱까지 올라가 처소에서 산불이 나나 안 나나 보고 시간 되면 내려오셨던 것 같다. 돈도 벌고 운동도 하고 일석 2조라고 좋아하셨다. 그래서 알아봤다.
60세가 되면 자연스럽게 은퇴하던 시절은 이 제 옛말이 되었다, 지금은 70대의 취업률이 30%에 이른 다고 한다 지난번 어떤 설문조사에서도 많은 분들이 퇴직 나이로 65세 이후를 꼽았다고 한다 그런데 노후에도 다닐 수 있는 직장이 많지는 않다. 그래서 나라에서는 시니어들이 사회에 참여하면서 월급도 받을 수 있는 노인 공공일자리를 운영한다. 그런데 내년 2025년에는 역대 최대인 110만 개의 일자리가 생긴다고 한다. 어떤 분들이 신청할 수 있는지, 장점은 뭔지 정리했다.
1) 노인 공공일자리는 어떤 건가요?
시니어에게 사회 참여 기회를 드리고, 부족한 소 득을 보충해주기 위한 목적으로 정부가 공급하는 일자리이다.
공익활동형과 사회서비스형, 민간형으로 나뉘게 된다.
1. 공익활동형: 주로 공공의 시설을 정리하거나,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업무를 한다. 보통 하루 3시간 이내로 근무시간이 짧고, 급여도 올해 기준 29만 원으로 비교적 적은 편이다.
2. 사회서비스형: 자신의 경력을 살려 어린이를 돌보거나, 다른 사람을 교육을 한다. 월 60시간으 로 일하는 시간이 길고, 급여도 76만 원으로 비 교적 높은 편이다.
3. 민간형: 어르신에게 적합한 업종의 소규모 매 장을 운영하는 방식인데요, 실버택배나 실버카 페등이 대표적이다.
2) 누가 대상인가요?
공익활동형은 65세 이상 노인 중 기초연금 수 급자가 대상이다.
사회서비스형과 민간형은 60세 이상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참고로 공익활동형의 지원 대상인 기초연금 수 급자의 경우 65세 이상 노인 중 70%가 해당돼 서 신청의 문턱이 높지 않은 편이에요.
기초연금: 만 65세 노인 중 소득기준이 넘지 않는 분들을 대상으로 지급되는 연금이기도 하다. 2024년 소득기준은 부부 합산 340만 원이다.
3) 어떻게 신청하나요?
12월 2일부터 이달 말까지 신청을 받는다. 소득 수준과 경력 등을 판단해 선발하는데, 혼자 살거나 부양해야 할 가족이 있는 분들의 경우 우 선순위가 높다고 한다.
신청: 12월 2일(월)~12월 27일(금)
선정: 12월 말~ 1월 초 개별 선정 접수처: 행정복지센터, 정부 24 홈페이지
공공일자리의 종류와 기간은 지자체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신청하려는 지역의 행정복지센터 등에서 자세한 내용을 꼭 확인해야 합니다. 혹시 신청이 마감되었어도 실망하지 마시고 내년에 꼭 신청하세요. 해마다 사람들을 뽑는 것 같아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제 이직 하면 좋을까요? (1) | 2024.12.18 |
---|---|
딤섬이 만두가 아니다? (2) | 2024.12.17 |
미성년자 SNS 사용을 전면으로 금지 (4) | 2024.12.12 |
고구마를 가장 많이 먹는 나라는 어느 나라 일까요? (24) | 2024.12.11 |
속이 메슥거릴 때의 원인과 해결 방법을 알아보자 (4) | 2024.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