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답은 네델란드 입니다.
추운 겨울이 다가오면 생각나는 고구마, 우리나 라뿐 아니라 전 세계에서 사랑받는 식재료 중 하나이다.
그중에서도 고구마를 가장 많이 수입하는 국가는 바로 네덜란드라고 합니다. 고구마는 달콤해서 어느 나라든 다 좋아하는 것 같습니다. 지난해 전 세계에서 고구마를 가장 많이 수입한 나라는 1위가 네덜란드로, 한화 약 2300억 원어 치를 샀다고 해요. 2위는 영국, 3위는 캐나다라고 합니다. 네덜란드는 영국이나 캐나다보다 인구가 적고, 우리나라 인구의 1/3 정도로 크지 않은 나라인 데, 왜 이렇게 고구마를 많이 사는 걸까요?
사실 네덜란드는 유럽에서 가장 큰 항구를 가진 '무역 강국'이에요. 미국이나 중국 등 주요 국가 로부터 원료와 전자제품, 농산물 등을 수입해 다 시 유럽 전역으로 수출하는 역할을 하고 있어요. " 보통 수출이라고 하면 그 나라에서 생산된 걸 다른 나라에 파는 것을 떠올리는데, 네덜란 드는 다른 곳에서 수입한 물건을 가공해서 다 시 판매하는 '재수출' 비중이 높은 나라예요. 유럽에서는 최근 몇 년 사이 건강식품에 대한 관 심으로 고구마 수요가 늘어났대요. 네덜란드는 생물 고구마를 수입해 튀김, 그라탱, 파이 등의 식품으로 가공해 다른 유럽 국가로 수출한다고 해요. 그리고 빌게이츠도 고구마에 투자했다는 설도 있어요 반대로 전 세계에서 고구마를 가장 많이 생산하는 나라는 중국이에요. 전 세계 생산량의 85% 를 차지하는데요, 내수 소비가 많아 수출은 거 의 하지 않아요. 대신 고구마를 가장 적극적으로 수출하는 나라는 미국이에요. 2위는 이집트인데, 고구마는 따 뜻한 기후를 좋아하고 척박한 땅에도 잘 자라서 넓은 황무지에서 기르기 제격이라고 하죠.
아프리카에서도 의외로 고구마를 많이 키우는 데요, 빌게이츠가 아프리카의 고구마에 투자를 한 적도 있어요.
2005년 아프리카에서는 어린이들의 비타민A 결핍이 큰 문제였는데, 빌게이츠 재단은 비타민A가 포함된 새로운 고구마 품종을 개발해 농민 들에게 보급해 서와 문제를 해결했대요. 고구마가 달아서 덜 먹고 있었는데 한국에서는 겨울철 하면 군고구마를 요즘에는 집에서 구울수 있어 좋은 것 같아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제 이직 하면 좋을까요? (1) | 2024.12.18 |
---|---|
딤섬이 만두가 아니다? (2) | 2024.12.17 |
2025년에 공공 일자리가 110만 개 생긴다고 합니다. (2) | 2024.12.13 |
미성년자 SNS 사용을 전면으로 금지 (4) | 2024.12.12 |
속이 메슥거릴 때의 원인과 해결 방법을 알아보자 (4) | 2024.11.21 |